기본현황
부산은 2024년 기준 인구 330만명, 총면적 770.2㎢로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이자 제1의 무역의 중심지이다.
1876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항을 개항한 이래 부산은 무역, 상업 및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회의,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불꽃축제 등 글로벌 행사가 매년 열리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백화점, 해운대해수욕장, 요트 센터가 있는 관광지이다.
한국의 최남단에 위치한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 역할을 했던 유서 깊은 도시로, 북쪽에서 피난온 피난민들이 마을을 이루었다.
인구
1876년 개항 이후 항구 도시 부산은 무역, 상업, 산업의 중심지로 빠르게 발전했다. 이러한 개발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1936년에는 이미 20만 명에 이르렀다. 부산의 인구는 폭발적 증가는 한국 전쟁 때 이루어졌는데 외부 사람들이 도시로 끊임없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1955년 말 부산의 인구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인구 증가에 박차를 가한 또 다른 요인은 정부의 경제성장 정책이었다. 변두리 지역의 사람들은 계속해서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들었다. 1994년 말까지 약 400만 명의 사람들이 부산을 고향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1995년부터 인구가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2021년 12월 기준 부산 인구는 3,396,109명으로 2020년보다 42,601명 감소했다. 인구 구성비는 남성 인구 49%, 여성 인구 51%였다.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4만5729명으로 2020년보다 1035명 증가했다.
기후
부산은 동아시아 계절풍이 탁월한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한반도의 남동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4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뚜렷한 온대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은 14.9℃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441.9mm이다.
부산은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바람이 강하다.
봄은 3월에 시작하여 6월 말에 끝난다. 3월 하순에 벚꽃이 피고, 4월부터 6월까지는 기온이 매우 쾌적하다. 6월 말과 7월의 장마철은 다가올 여름 더위의 시작을 알린다.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는 평균 최고 기온이 32°C 정도이다. 가을은 9월 초부터 11월 말까지이다.
대륙고압의 영향으로 이 시기에 부산은 날씨가 선선하고 좋다. 겨울은 11월 말부터 시작해 2월까지 이어지지만 부산은 눈이 거의 내리지 않는다. 겨울 평균 기온은 3.8°C이다. 쾌청한 날씨와 아름다운 풍광 덕분에 관광객들은 사계절 내내 부산을 즐길 수 있다. 여름이 되면 부산, 특히 해운대와 광안리 해수욕장은 아름답고 여유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즐기기 위해 온 방문객들로 붐빈다.
도시환경
아름다운 산과 강, 바다가 어우러진 부산은 문화의 도시이기도 하다.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낙동강과 해운대를 비롯한 수려한 풍광이 전국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 도시는 지역 문화 활동의 주요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부산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항만도시이기도 하다. 부산의 지정학적 위치는 부산이 한반도와 전체 동북아 지역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기업하기 좋은 도시
부산은 동남 경제권의 물류∙경제 중심지이다. 한국의 산업 허브로서 763만 명의 정주인구를 가지고 있는 동남 경제권에서는 선박건조의 90%, 조선부품 생산의 90%, 자동차 생산의 45%, 제조업 생산의 40%가 이루어 진다.
위치
지리적으로 부산의 남쪽에는 대한해협이, 북쪽에는 울산이, 서쪽에는 김해가 위치한다.
부산과 위도가 거의 동일한 도시로는 대한민국의 진해와 광주, 국제적으로는 일본의 도쿄, 알제리의 알제, 미국의 오클라호마시티 등이 있다. 부산은 그리니치 표준시보다 8시간 빠르다.
부산의 지정학적 위치는 아시아, 시베리아, 유럽을 연결하는 기다란 띠의 남쪽 끝이다. 부산은 태평양으로 가는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략적 위치로 인해 부산은 국제 해상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글로벌 물류의 전략적 요충지
앞으로 2030년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지름길인 북극항로가 개척되면 부산에서 유럽까지의 거리는 기존 거리보다 40%, 북미까지는 30%가 단축될 전망이다. 또한 부산은 우리나라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이어지는 철도인 “실크로드익스프레스(SRX)”가 실현될 핵심 출발지로, 동북아 물류중심도시에서 세계 물류의 중심지로 거듭날 것이다.